한국의 중형 SUV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다. 싼타페와 쏘렌토, 현대기아차의 두 터줏대감이 시장을 거의 양분하다시피 하고 있다. 두 모델 모두 풀체인지/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기 전까지는 말이다. 싼타페 TM 페이스리프트가 출시된 후 여론상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다. 바로 싼타페의 파격적인 디자인 때문이다. 페이스 리프트이지만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이전까지 보지 못했던 파격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을 때 사람들은 으레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곤 한다. 특히 볼륨모델과 같이 인기가 많은 모델일수록 그렇다. 하지만 기존의 것을 버렸다는 이유만으로 사람들은 비난하지 않는다. 싼타페처럼 쏘렌토 또한 전 세대 대비 파격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 두 모델에 대한 반응은 극과 극을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은 논란이 되고 있는 두 차종의 디자인에 한걸음 더 들어가 본다.

글 Joseph Park 수습기자

싼타페의 스타일링
강인함 + 섬세함

논란의 중심인 싼타페 페이스리프트 외장 디자인은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독일에서 태어났다. 그들의 디자인 테마는 SUV 특유의 강인함, 그리고 이와 대비되는 섬세한 스타일을 강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스포티함은 강인함과 연결되고 섬세함은 감성과 연결된다. 디자이너가 말하는 강인함과 섬세한 스타일을 강조하였다고 함은 ‘감성을 더한 스포티함’으로 해석되는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랭귀지, ‘센슈어스 스포트니스’에 부합된다.

또한 차체가 기존 모델보다 더욱 넓고 웅장해 보이도록 헤드램프와 양옆으로 넓어진 그릴을 하나로 통합해 ‘인터그레이티드 아키텍처(integrated architecture)’를 적용했다. 주간주행등을 감싸며 양옆으로 끝까지 뻗은 그릴을 통해 철옹성의 단단한 성벽처럼 싼타페의 견고한 이미지를 그려냈다고 하였다.

그릴과 더불어 가장 많이 언급된 ‘T’ 자 형태의 주간주행등은 디자이너들이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부분으로서 독수리눈에서 영감을 받아 독창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다. 또한 이전 모델과는 다르게 헤드 램프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그들이 말하는 ‘인터그레이티드 아키텍처’, 즉 통합 조형에 연장선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쏘렌토의 스타일링
정제미 + 강렬함

싼타페의 디자인이 강인하면서 섬세한 센슈어스 스포트니스에 기반하여 디자인되었다면 쏘렌토는 조금 다르다. 신형 쏘렌토의 디자인은 강인하면서 정제된 디자인이다. 4세대 쏘렌토 디자이너는 ‘강렬함’, ‘강인함’, ‘존재감’이라는 단어에 중심을 두고 진화해온 쏘렌토의 가치를 4세대 쏘렌토를 통해 이어간다고 말하였다. 이렇게 태어난 디자인 콘셉트가 ‘정제된 강렬함 (Refined Boldness)’이다.

디자이너 말에 의하면 정제된 강렬함이라는 디자인 테마 아래 디자인된 4세대 쏘렌토의 외장 디자인은 단단하고 대담한 이미지를 보다 세련되게 다듬는 과정의 일환이었다고 한다. 더불어 섬세한 디테일과 날카로운 엣지를 통해 미래지향적이고 다이내믹한 분위기를 동시에 품는 디자인이라고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전체적으로 볼드하고 직선 위주의 캐릭터 라인을 기반으로 세부적인 디테일들이 균형 있게 자리 잡고 있으며 각 조형들마다 구조적인 깊이감을 더해 다양한 리플렉션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로 인해 풍성한 입체감이 두드러지며 세련된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렇게 쏘렌토와 싼타페는 비슷하지만 다른 디자인 철학아래에서 디자인되었다. 각 디자인 팀의 생각과 철학이 또렷이 반영된 모델들이다. 노련미 넘치는 디자이너들답게 각각의 조형물과 디자인 장치들은 각각의 캐릭터를 강조하며 하모니를 이루어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외장 디자인 인터뷰를 몇 번을 정독해도 속이 후련한 기분이 들지 않는다. 특히 영감받은 주제와 그들이 해낸 디자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느낌이다. 다시말해 그들에게 영감을 준 오브젝트에 대한 깊은 고찰이 그들의 인터뷰와 디자인에서 잘 느껴지지 않는다.

동식물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하는 행위는 20세기 자동차 디자인이 상품성과 판매량에 영향을 끼치면서 많은 디자이너들이 흔히 사용하던 방식이다. 우리 주변의 것들로부터 영감을 받는 행위가 옳지 않거나 구식이라는 말이 아니다. 하지만 현대기아차의 문제는 이러한 소재와 인스퍼레이션을 단지 닮게, 혹은 똑같이 따라하여 적용시키는 1차원 적인 디자인을 한다는 것에 있다. 이 방법은 확실히 구식이다.

최근 자동차 디자인을 가르치는 여러 학교와 단체에서도 이렇게 단편적이고 쉬운 방법을 통해 프로젝트를 디벨롭 하는 것을 지양하도록 가르친다. 단순히 영감을 준 오브젝트를 닮게 디자인하는 것이 아닌 한층 더 들어가 본질적인 부분을 탐구하여 본인의 디자인으로 풀어내는 사고방식을 꾸준히 가르치고 있다. 이를 통해 뼈대가 단단히 잡힌 프로젝트는 당연히 완성도가 더 높다.

끊임없이 영감받은 디자인에 대한 당위성을 스스로 찾으며 개인의 프로젝트를 완성시킨다. 이렇게 완성된 예비 디자이너들의 심도 깊은 형태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이 잘 묻어나는 프로젝트들은 지금 당장 비핸스만 보아도 널려있다.

물론 학생의 입장과 현직 디자이너로서 디자인에 참여한다는 것은 분명 다를 것이다. 하지만 이 차이가 디자인을 잘 하는 회사와 잘 하지 못하는 회사를 나눈다. 예쁘기만한 디자인과 감동을 주는 디자인은 다르다. 명색에 한국을 대표하는 중형 SUV가 아니던가. 공식적인 인터뷰를 정독해보아도 ‘그냥 닮아서’, ‘그냥 비슷하니까’ 와 같은 표면적인 이유만 예쁘게 포장해서 나열할 뿐이다.

기아자동차 디자이너는 인터뷰에서 “쏘렌토 측면 윈드실드에 날카롭게 자리 잡은 상어 지느러미 형태의 크롬 가니시를 통해 빠른 속도감을 부여하려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묻고 싶다. 왜 상어 지느러미인가? 상어 지느러미 보다 빠른 것들은 더 많지 않은가? 슬릭한 형태의 도형을 먼저 만들어 놓고 난 뒤에 상어 지느러미같이 보여서 이렇게 설명하는 것은 아닌가? 기아차의 호랑이를 닮은 그릴과 눈은 그렇다고 쳐도 갑자기 상어가 등장한 배경에 대해서 설명해 줄 수 있는가?라고 묻고 싶다.

싼타페도 마찬가지이다. 싼타페 디자이너는 싼타페를 통해 독수리눈의 형태를 닮은 데이라이트를 선보였다. 독수리의 눈은 원형이다. 상어 지느러미의 형태를 그대로 빼다 밖은 쏘렌토의 측면 윈도 가니쉬보다는 덜 유치하다. 하지만 ‘왜’ 독수리의 눈에서 영감을 받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이 또한 과연 독수리의 눈과 날갯짓에서 느껴지는 속도감과 강인한 인상에서 영감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먼저인지, T자 형태를 그려놓은 뒤 독수리를 가져다 붙인 것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에서 드러나는 조화로움과 바디볼륨은 두 차종 모두 멋지다. 디자이너들의 노련미가 잘 드러난다. 싼타페는 위의 인터뷰에서 언급되었듯이 ‘인터그레이티드 아키텍처’ 가 적용된 그릴과 마찬가지로 통합 조형을 그려냈다. 서로 떨어져 있던 부분을 자연스럽게 하나로 이으며 더 단단하고 견고한 느낌을 준다.

이는 실차를 마주했을 때도 고스란히 전해진다. 기존 모델 대비 확장된 그릴이 전면부에서 확고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그를 중심으로 주간 주행 등과 범퍼 크롬 가니시, 그리고 보닛의 캐릭터 라인이 ‘X’ 형태를 그린다. 상당히 스포티 해 보인다. 그리고 인상적이다.

후면부 디자인은 전 세대 모델의 백미였던 볼륨감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현재는 제네시스 모델에도 적용되고 있는 오목한 트렁크 패널이 깊은 음영을 만들어내며 입체감을 더한다. 리어램프 또한 아반떼(CN7)의 그것과 같이 최신 트렌드가 적절히 반영되었다.

후면부 하단에 비슷한 길이로 배치된 반사 패널은 지루해 보인다. 하지만 차량을 더 높아 보이게 도와주는 측후면 크롬 몰딩을 통해 스포티한 느낌이 강조되어 전면부 디자인에만 적응이 된다면 전체적으로 매력 있는 디자인으로 보인다.

쏘렌토의 측면 프로파일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무거워 보이지도 않고, 밴처럼 둔해 보이지도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상어 꼬리 형태의 윈도 크롬 가니쉬 또한 측면 프로파일에서 D 필러와 함께 슬릭한 형태로 꾸며졌다.

또한 전면부 후드 라인에서 시작된 쏘렌토의 캐릭터 라인은 측면을 거쳐 후면부 번호판까지 이어지는데 이렇게 끊어지지 않는 선을 통해 어느 각도에서 차량을 보아도 차량이 더욱 길어 보이고, 커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노렸다.

후면부 디자인은 텔루라이드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버티컬 타입의 테일램프와 와이드 한 조명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조형미를 강조한다. 하지만 전면부 후드에서부터 시작되는 하나의 캐릭터 라인을 강조한 위해서 버티컬 타입보다는 이를 강조하는 형태의 테일램프가 사용되었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다.

좌우 크기도 다르고 직선또한 아니다. 조금 불편해보인다. 하지만 버티컬 테일램프 위주로 만들어져있는 다양한 면들과의 조화는 좋아 보인다. 빛이 지날 때마다 각기 다른 면들이 만들어내는 음영을 통해 다부지고 강인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두 모델 중 어느 것이 더 예쁘다는 주제로 벌어지는 사람들 간의 논쟁은 끊이지 않는다. 취향이 반영되는 디자인만큼 자동차 디자인에는 정답이 없다는 말이다. 쏘렌토 또한 출시 당시 불호의 여론이 더 강했다. 하지만 지금은 쏘렌토의 디자인이 조금 더 인기가 많은 듯 보여진다. 쏘렌토의 직선 위주로 만들어진 정제미가 조금은 부담스럽기도 한 싼타페의 강렬한 디자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아 보이는 것 일 수도 있다.


 

쏘렌토의
승리인 것일까?

그렇다면 이번 중형 SUV 디자인 챌린지에서는 쏘렌토가 승리하였다고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다. 싼타페 페이스리프트가 공식 출시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았을뿐더러, 기존과 완전히 다른 디자인으로 재등장하여 사람들의 온라인상 여론이 좋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판매량이 무조건 낮아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좋은 예로 그랜저 페이스리프트가 있다. 그랜저 페이스리프트도 이전의 정갈하고 불호 없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파라메트릭 주얼이 적용된 파격적인 전면부 디자인 때문에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었다.

하지만 출시 이후 꾸준히 1위의 자리를 지켜내며 오히려 과격한 디자인 논란은 없었던 K7과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일례를 보아도 싼타페의 디자인이 파격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판단을 하기에는 이르다.

서론에서 이야기하였듯 싼타페와 쏘렌토는 한국을 대표하는 중형 SUV이다. 도로에서 많이 보이고 많이 타게 될 차종 중 하나라는 것이고, 그만큼 제조사에서 신경을 많이 쓴 모델일 것이다. 실제로 경험했던 두 모델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은 이야기해보자면 멋지다는 단어로 축약할 수 있다. 싼타페의 개성 넘치고 날렵한 느낌의 디자인과 쏘렌토의 다부지고 탄탄한 느낌의 디자인 모두 각 모델의 고유 캐릭터를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신규 플랫폼 적용과 더불어 내외관 대폭 상승한 상품성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한 이 차를 경험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즐거운 감정을 느끼기에 충분한 모델들이었다. 디자인에 답은 없다. 싼타페와 쏘렌토는 파워 트레인과 관련 UX 기술 또한 큰 차이가 없으니 각자의 취향대로 차를 선택해도 좋을 것이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autopostmedia@naver.com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