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4개 브랜드 동시 리콜
전부 동일하게 배터리 화재 우려
화재 원인은 삼성 배터리 결함?
![사진 출처 = 'VTDigger'](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73948/i%C2%82%C2%ACi%C2%A7%C2%84-i%C2%B6%C2%9Ci%C2%B2%C2%98-VTDigger.jpg)
전기차 화재의 원인이 중국산 배터리로 지목되며, 전기차 시장에서는 중국산 기피 현상이 확산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한국산 배터리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삼성 SDI의 고전압 배터리 팩이 그 주인공이다.
포드, 폭스바겐, 지프, 아우디가 동시에 리콜을 발표했다. 네 브랜드는 리콜 사유에 대해 삼성 SDI의 고전압 배터리팩 화재 우려라고 밝혔다. 삼성 SDI 발 네 브랜드 동시•동일 사유 리콜, 어떻게 된 일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사진 출처 = 'Business Insider'](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335/01-12.jpg)
![사진 출처 = '삼성그룹'](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345/02-12.jpg)
불 나는 메이드인 코리아
삼성 배터리 팩 결함
포드, 폭스바겐, 지프, 아우디가 약 18만 대 규모의 리콜을 동시에 발표했다. 이들의 공통된 리콜 사유는 바로 ‘삼성 SDI에서 제조한 고전압 배터리팩 결함’이다.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분리막 손상이 다른 부품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화재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 SDI는 배터리 셀 제조 과정에서 분리막 층이 손상될 가능성을 인정하며,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의 신뢰성은 전기차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결함은 업계에 상당한 충격을 주고 있다.
![사진 출처 = 'J.Dpower'](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411/03-11.jpg)
![사진 출처 = 'Wheelz.me'](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353/04-12.jpg)
해결책은 아직 없어
알림으로 임시방편
삼성 SDI와 해당 자동차 브랜드들은 현재까지 구체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각 제조사는 소비자들에게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차량을 외부 주차장에 보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신속한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포드의 경우 경고 메시지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적용 중이다. 포드의 대시보드 경고 기능은 차량에서 문제가 감지되면 즉각 정차하라는 메시지를 띄워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다.
![사진 출처 = 'Le Guide de l'auto'](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402/05-13.jpg)
![사진 출처 = '삼성그룹'](https://cdn.autopostkorea.com/autopost/2025/02/10123428/06-13.jpg)
내 차도 포함될까?
리콜 포함 차종은?
이번 리콜의 대상이 되는 차종은 총 6종이다. 2020년에서 2024년 생산된 지프 랭글러 4xe와 2022년에서 2024년 생산된 지프 그랜드 체로키 4xe, 2020년에서 2024년 제조된 포드 이스케이프와 2021년에서 2024년 생산된 링컨 커세어, 2022년형 아우디 A7과 2022년형 아우디 Q5이다.
이에 해외 네티즌들은 “한국산 배터리도 중국에서 만든 것과 동일하게 품질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일본 배터리가 제일 안전하다.”, “삼성 SDI는 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삼성 SDI가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배터리의 명성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