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아빠들 사이에서 현대기아차는 없어서 못 판다는데 있어도 안 팔린다는 국산차의 정체‘간두지세’. 장대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아주 위태로운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딱 오늘의 주인공인 르쌍쉐의 현실을 말해주는 듯한 사자성어다. 연이은 파업과 판매량 저조 현상으로 르쌍쉐는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와 반대로 현대차와 기아는 나날이 점유율이 늘어가며 파죽지세로 국내 자동차 시장을 점령하는 추세다. 심지어 일각에선 현대차와 기아는 차량용
"쉐슬람"이라고 불리는 쉐보레 찬양자들도 유일하게 이해 못 한다는 최악의 옵션“다 된 밥에 보령미션 뿌리기”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다 된 밥에 재 뿌리기”라는 옛말을 쉐보레가 생산하는 보령미션에 대입하여 만들어낸 말이다. 이는 잘 진행되던 업무에 누군가의 잘못 등으로 치명적인 이슈가 생겼을 때를 의미하는데 지금은 비교적 잠잠해졌지만, 한때 보령미션은 쉐
"10대 중 9대가 현대차" 아무리 싫어도 끔찍해도 아빠들이 계속 사주는 현실적인 이유어떤 현상에 대해 꾸준히 문제 제기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그 현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했거나 접근이 잘못되었음을 뜻한다. 한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기형적인 구조에 대해서 끊임없이 문제 제기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나아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국내 시장의 독점 구조에 대해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를 꼽고 있지
"아빠들 진짜 휩쓸겠다" SUV에 환장하는 아저씨들 한 번에 입 다물게 만든 신차 실물 모습한국에선 사전계약으로 2만 대 정도가 팔리면 역대급이라는 기사들이 쏟아지지만 역시 대륙의 스케일은 달랐다. 미국에서 사전계약으로만 23만 대를 판매한 뉴트로 SUV 브롱코 소식이다. 북미에서 대흥행을 이어가는중인 브롱코는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화제다. 많은 네티즌들이 “한국에도 들여와 달라”며 아우성인 것이 이를 증명한다. 브롱코가
"역대급 사이다 응징 갱신했다" 부평 아파트 무단주차한 올란도 차주가 맞이한 최후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주차 행위를 하고서도 법으로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뻔뻔하게 따지고 드는 차주들에 관한 사례들이 끊이질 않는다. 이 같은 상황을 법으로 방지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다 보니 차주들은 점점 나름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최근에도 민폐 주차로 인한 피해 글이 화제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번 사례는 단순히 피해 호소에만 그치지
"쌍용차 진짜 어떡하냐" 소리 나오게 만든 국내 출시 해버린 수입차 실물과 스펙 수준한국인이라면 대부분 알고 있을 노래가 있다. “나 어떡해 너 갑자기 가버리면”. 이 가사를 보면 아마 독자들의 머릿속에서는 특별한 노력 없이도 해당 노래가 재생될 것이다. 이 차의 미래를 그려도 이 노래가 자동 재생된다. 기우였으면 좋겠다만, 현실이 녹록지는 않아 보인다. 오늘 얘기할 주제는 ‘픽업트럭’이다. 국내 픽업트럭 하면 당장 떠올랐던 기업, 쌍용차
"그 돈으로 왜 수입차를 사?" 말하던 아저씨들 한 번에 입 다물게 만들어버린 것1등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다.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밑에서 올라오는 경쟁자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하며,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이미 턱 밑까지 따라온 경쟁자를 보았다면 그때는 이미 늦었을지도 모른다. 국산차를 타는 차주들이 수입차를 타는 차주들에게 그나마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점은 차량 구매 후 ‘애프터 서비스’부분 일 것이다. 하지만 이
"현대차, 포르쉐도 울고가요" 3천만 원짜리 차가 1억이 되는 역대급 수입차의 옵션 구성 수준분명 같은 제조사가 만든 동일 모델인데 어떤 차는 3천만 원, 어떤 차는 1억에 가까운 금액을 자랑하기도 한다. 3천만 원짜리도 있다고 하니 값비싼 슈퍼카는 아닐 거 같고, 일반적인 승용차라기엔 이 정도로 금액 차이가 큰 자동차를 찾아보기 어렵다. 오늘의 주인공은 미국 픽업트럭의 대표주자인 포드 F150이다. 누군가에겐 “상남자의 자동차̶
한국이면 무조건 잘 팔릴 줄 알았는데... 벤츠 BMW보다 안 팔렸다는 끔찍한 국산차셋이 합쳐 11%. 자동차를 좀 안다 싶은 독자들이라면, 오늘 무슨 얘기를 꺼낼지 벌써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을 듯하다. 셋이 합쳐 11%라는 것은 르쌍쉐의 1월 점유율을 뜻한다.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일명 ‘넘사벽’이니 이를 뛰어넘지 못하는 것은 그렇다고 쳐도, 최근에는 르쌍쉐가 메르세데스-벤츠와 BMW에도 판매량으로 뒤진다는 소리가 들려와 화제다. 더
현대차가 미친 듯이 신차 출시하자 줄줄이 망하게 생겼다는 국산차 브랜드의 충격적인 근황다들 한 번쯤은 해수욕을 즐기는 중 갑작스러운 파도에 맥을 추리지 못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성난 파도라도 미리 알고 대응한다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자유롭게 파고를 넘나들며 서핑을 즐기는 사람들처럼 말이다. 마찬가지로, 시대의 변화는 파도처럼 다가오기 때문에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최근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
"진짜 해도해도 너무하네" 국산차 회사 또 망하게 생기자 재조명 받기 시작한 치명적인 문제항해중인 배에 구멍이 났다면 선원, 승객 할 것 없이 힘을 모아 물을 퍼내고 구멍을 수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구멍을 메워야 할 선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선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처우가 개선되기 전에 배가 침몰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국내 자동차 업체의 귀족 노조, 강성 노조는 꾸준히 거론되어온 문제이다. 그런데 최
그렇게 결함 터진다 욕하면서 막상 도로에는 현대차만 보일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인 이유들연이은 결함과 리콜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가장 잘나가는 자동차 제조사가 어디일까? 벌써 답을 눈치챈 독자들이 많을 것 같다. 정답은 현대차다. 우리나라에서 국산차로 분류되는 제조사는 자그마치 5곳이다. 각각의 사정으로 오롯이 국산차로 칭하기에는 애매한 감이 있지만, 보통 자동차 사이트에는 현대차, 기아차, 르노삼성, 쉐보레, 쌍용차를 국산차로 분류한다. 한
"무조건 폭망한다 무시했는데" 한국 아저씨들이 한 번 타보면 무조건 계약한다는 신차 실물일반적으로 트럭을 언급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포터나 봉고처럼 투박한 상용 트럭일 것이다. 그런데 SUV 못지 않게 세련되면서도 강력한 외관 디자인으로 수많은 레저 애호가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트럭이 있다고 한다. 바로 픽업트럭이다. 그중에서도 미국 정통 오프로드 브랜드, 쉐보레의 콜로라도는 작년 한해 동안 뜨거운 시장 반응을 불러일으켰다고 한
강원도에서 미친듯이 팔릴 것 같았던 신차의 반전 판매량 공개되자 난리 난 이유국내에서 정식으로 판매 중인 수입 픽업트럭인 콜로라도와 글래디에이터, 현재 콜로라도는 출시 초기 대비 판매량이 많이 늘었다. 지난 한해 5,049대를 판매했다. 월평균으로 나누면 420대 정도다.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인기 없는 장르인데다 수입차라는 점을 감안하면 나름 선전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글래디에이터는 지난 9월 이후 12월까지 347대를 판매했다.
"이게 지금 말이 된다고 생각하냐?" 국산차 제조사 취업하면 받는 전세계 최고의 연봉 수준“아니, 그렇게 주고도 수익을 낼 수 있나요? 정말 대단하네요” 5년 전 BMW 그룹 인사총괄 사장이 “현대차 근로자들 연봉이 1억 원에 가깝다”라는 말을 듣고 난 뒤 내뱉은 말이다. 대한민국 취준생들에겐 꿈의 직장으로 불리는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 그중에서도 “국산차 제조사에 취업하면 최고의 연봉과 복
"이대로 나오면 초대박이다" 쉐보레가 한국 아저씨들 사로잡으려고 작정했다는 옵션 사양수입 브랜드인지 국산 브랜드인지를 두고 항상 논쟁이 벌어지는 기업이 있다. ‘인터넷 슈퍼카’라는 웃기면서도 슬픈 별명을 갖고 있는 쉐보레다. 그런 쉐보레가 작년에 한국수입 자동차 협회에 신청서를 제출하며 수입차 대열에 합류했다. 최근까지도 이어졌던 GM대우라는 국산차 이미지를 벗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최근 쉐보레에서 유독 화제가 되는 신차가 있다. 국
"어이~ 증거 있으면 어디 해봐" 문콕 한 주제에 뻔뻔함 자랑하던 차주가 제대로 역관광 당했다국내에는 당연한 듯 존재하지만 외국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스펀지가 있다. 바로 차 문에 달린 파란색 스펀지다. 정식 명칭은 ‘도어 가드’로, 주차난이 심한 한국에서 ‘문콕’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런데 일명 ‘문콕 가드’의 헌신에도 불구하고 문콕 사건은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고의성이 다분한 문콕 사건이 일어나 뭇 네티즌 사이에서
"이걸 왜 고민하냐?" 현대차 씹어먹는다던 국산차 제조사가 국내 출시 망설이고 있다는 신차“당랑거철(螳螂拒轍)”이라는 말이 있다.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고사 성어이다.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는 싸움을 나타내는 말로, 현대차그룹과 맞서고 있는 국산차 제조사들에게 어울리는 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현대차와 가장 잘 맞서고 있는 제조사가 있다. 바로 르노 삼성이다. 르노 삼성은 올해 3월, XM3를 출시하여 현대자동차의 판매량
"뭐가 부끄러워서?" 현대차가 최근에 단종됐는데 알리기 싫어하는 비운의 차들만남이 있으면 헤어짐도 있는 법. 화려하게 데뷔하여 소비자들에게 상품성을 어필했으나 결국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해 쓸쓸히 단종을 맞이한 자동차들이 존재한다. 매년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대부분의 자동차들은 짧은 기사 한 줄로 단종 소식을 알리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런데, 일부 자동차들은 이런 기사 한 줄 없이 조용히 단종을 맞이하는 경우도 있다. 소
현대차 그렇게 까다가도 결국 한국 아빠들은 현대차 대리점에서 계약서 쓰고 나오게 되는 이유흔히들 옷장을 보고서 하는 말이 있다. “입을 옷이 없다”라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 사실 옷장에 옷은 많은데 당장 내 마음에 드는 옷이 없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 자동차 시장에서도 비슷한 말이 있다. “살 차가 없다”라는 말이다. 정말 살 차가 없다기보다는, 값어치를 하는 혹은 자신에 마음에 쏙 드는 차가 없다는 의미일 것이다. 국산차만 해도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