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님 ‘분노의 호통’에 결국…관계자들 진땀 빼며 만들었던 전설의 국산차

0
1162

현대 제네시스 개발 비화
정몽구 회장 분노한 디자인
국산 고급 세단의 시발점

사진 출처 = ‘클리앙’

한 번의 성공을 위해서는 100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해야 한다는 과학계의 진리는 매우 그럴듯해 보인다. 이는 곧 모든 성공이 시작부터 빛날 수는 없으며, 이 과정에서 온갖 어처구니없는 실수들까지 모두 겪어야만 성공으로 가는 단서를 모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초창기의 실수와 오류를 보면 누구도 성공을 예상할 수 없을 경우도 많은데, 자동차 업계에서 그 대표적인 사례는 아마 제네시스가 아닐까 싶다.

지금의 세계적인 럭셔리 브랜드인 제네시스가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대 제네시스라는 디딤돌이 있어야만 했다. 아마 현대 제네시스는 단순히 제네시스라는 브랜드를 넘어, 현대자동차의 전체 역사에서 그랜저 다음으로 큰 의미가 있는 모델이 아닐까 싶다. 오늘은 지금도, 이 글을 쓰고 있는 에디터를 포함해 수많은 사람에게 명작으로 기억되는 현대 제네시스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오대준 기자

현대 제네시스 프로토타입 / 사진 출처 = ‘클리앙’
정몽구 당시 현대자동차 회장 / 사진 출처 = ‘뉴스토마토’

처참했던 프로토타입 디자인
정몽구 전 회장도 분노했다고

제네시스의 초기 목적은 현대자동차의 상위 라인업인 에쿠스와 그랜저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이었다. 다만 당시부터 제네시스를 독립된 고급 브랜드로 출시하자는 말은 나오고 있었으나 위험성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현대의 라인업으로 출시되는 것으로 결정이 되었다. 이후 프로토타입이 제작 및 공개되었으나 지금 보아도 ‘끔찍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의 결과물이 나오게 되었다.

한 유튜버는 이 프로토타입에 대해 베라크루즈를 압착기로 짜부라뜨린 것 같이 생겼다는 평을 내리기도 했으며, 실제 양산형 결과물과는 공통점도 찾아볼 수 없는 모델이 나와버린 것이다. 이에 당시 현대자동차의 정몽구 회장마저 분노하여 디자인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야사로 전해지기는 하지만, 분노까진 아니더라도 새롭게 디자인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은 정황상 분명해 보인다.

현대 제네시스 BH / 사진 출처 = ‘힐카수리’
현대 제네시스 BH / 사진 출처 = ‘중고차파괴자’

현대의 명작, 현대 제네시스
시작은 초라했으나 결과는 창대

그렇게 새롭게 디자인되어 등장한 모델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 제네시스 BH이다. 디자인적으로나 성능적으로나 지금 기준에서도 부족한 점이 없는, 흔히 현대가 실수로 잘 만들었다는 평을 듣기도 하는 1세대 제네시스는 자신의 윗 라인업인 에쿠스마저 성능, 디자인, 심지어는 다양한 첨단 사양으로 압도하기도 했다. 에쿠스보다 부족한 점을 굳이 꼽는다고 해도 에쿠스의 최대 장점인 실내 인테리어와 차종 차이에서 오는 공간 크기뿐이었다.

현대 제네시스는 길아성 같았던 등장과 함께 국산차 시장을 완전히 뒤집어놨고, 이후 제네시스의 후륜구동 플랫폼을 활용해 제네시스 쿠페까지 출시하면서 현대의 럭셔리 브랜드 론칭의 꿈에 더욱 가까워져 갔고, 이후 제네시스는 독립 브랜드화되면서 자기 위에 있던 에쿠스까지 집어삼키는 기염을 토했다. 초라했던 프로토타입에서 여기까지 걸린 시간은 10년 내외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가히 업적이라 말할 수 있겠다.

현대 제네시스 BH 실내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현대자동차 아슬란 / 사진 출처 = ‘엔카’

생각해보면 보험 같았던 모델
여유로웠기 때문에 완벽했다

개인적으로 제네시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조건 중 하나를 ‘여유’라고 분석하고 싶다. 제네시스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에쿠스와 그랜저의 중간 라인업을 메꾸기 위해 개발한 모델이다. 즉, 시장에서 급격한 수요 증가로 인해 현대가 급하게 개발해야 했던 모델도 아니었으며, 비록 고급 브랜드를 꿈꾸고 있던 현대라고는 해도 이를 급하게 진행할 의사가 없었다는 점도 이에 한몫한 셈이다.

이는 반대로 에쿠스와 제네시스의 독립에 따른 상위 라인업의 공백을 급하게 메우는 동시에 수입차로 넘어가는 국산차 소비자들을 잡아야 한다는 이사진의 요구에 맞춰 등장한 아슬란과는 정반대의 행보로 보인다. 즉, 현대가 여유를 갖고 디자인적인 오류까지 고쳐가며 차근차근 나아갔기 때문에 지금이나 당시 기준으로나 명작이란 평을 듣는 제네시스가 등장할 수 있었고, 그 성공이 나아가 현대의 숙원인 럭셔리 브랜드로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BH / 사진 출처 = ‘KB차차차’

현대의 정점이 된 제네시스
에디터의 기억 속에 제네시스

현재 제네시스는 현대의 정점이 되었다. G80은 한국의 자동차 발전의 기념비라는 평을 듣고 있으며, G90은 에쿠스의 뒤를 이어 프리미엄 대형 세단으로서, 국산 자동차의 최정점에 올랐다. SUV 시장에서도 GV80의 성공으로 성공적인 안착을 마친 제네시스, 앞으로는 어떤 새로운 도전을 보여줄지가 더욱 기대되는 바이다.

개인적으로 에디터의 아버지가 과거에 타셨던 차이자, 에디터가 처음으로 타봤던 고급 세단이라는 점에서 늘 마음 한 켠에 남아있는 차이기도 하다. 남들이야 여전히 수입차에 비해서는 부족한 점투성이였다고 평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나에게는 이 제네시스가 어릴 적부터 성공의 상징으로 지금까지 남아있다.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