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이슈플러스 현대차 초 강성노조 등장에 난리났다, “이럴거면 차라리 해외로 공장 다 옮겨라”라는 반응까지

현대차 초 강성노조 등장에 난리났다, “이럴거면 차라리 해외로 공장 다 옮겨라”라는 반응까지

1

현대차 특근 노조 동의받지 못해 두차례 철회
최근 강성노조 들어서… 앞으로도 특근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노조는 근로 조건 개선 및 근로자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근로자들이 결성하는 단체로서, 노조는 국가에서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즉 자유롭게 노조에 가입해 활동을 할 수 있다. 거기다가 노조 자체는 나쁘지 않다.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는 당연히 보장받아야 한다. 노조가 회사의 부당함에 맞서 대항하는 보도가 나오면 사람들은 대부분 노조 편을 들어준다. 이 소식을 접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노동자의 입장에 있기 때문에 노조원들의 심정을 더 잘 이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차 노조는 반대로 이미지가 상당히 안 좋으며, 오히려 현대차 편을 들어주는 사람들이 많다. 근로자들의 권익 향상의 넘어 이익만 밝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근무태만, 품질 불량, 경영에 월권 행사도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최근 반도체 수급난이 완화되면서 현대차는 목표 생산량 달성을 위해 초과 근무를 신청했으나 노조 대표 반대로 두 차례 자진 철회했으며, 이번에는 노조 차기 지부장으로 강성 성향 후보자가 당선되었다고 한다.

글 이진웅 에디터

현대차 공장 / 뉴스토마토

반도체 부족난으로
밀린 생산량 해소를 위해
특근 신청

현대차는 반도체 부족난으로 올해 3분기까지 생산 목표의 92%밖에 달성하지 못했다. 또한 10월 생산량은 14만여 대로 겨우 지난 4월 수준을 회복한 상황이다. 반면 차량 주문은 크게 늘어나 생산이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다. 몇몇 모델들은 6개월 이상 대기해야 되며, 심하면 1년 가까이 걸리기도 한다.

현대차의 생산량이 줄어들다 보니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들 역시 가동을 줄이게 되면서 2차, 3차 피해가 속출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4분기에는 생산량을 최대한 늘리기로 했으며, 지난 2일, 고용노동부에 특별 연장근로 인가를 신청했다.

현대차 공장 / 한국경제

현대차가 지난달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올해 판매 목표치를 416만 대에서 400만대로 수정했다. 하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4분기에 109만 대 이상 생산, 판매해야 하는데, 특근을 하지 않고서는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

현재는 주 52시간 이상 근무를 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업무량이 폭증했을 때 근로자 동의를 얻어 고용노동부에 특근 신청을 해 허가를 받으면 52시간을 넘어서 근로가 가능하다. 당연히 근로자들에게는 특근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현대차 공장 / 뉴스토마토

노조원들도 사측의 결정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노조원들이 이번 특근에 동의한 것은 바로 퇴직금과 연관이 있는데, 3개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정산하게 된다. 그런데 지난 3분기부터 특근이 거의 없었던 탓에 3개월 평균임금이 줄어들었다. 퇴직을 앞두고 있는 직원 입장에서는 특근 하나라도 더 해 3개월 평균임금을 조금이라도 늘리는 것이 유리하다.

현대차는 특별 연장근로가 승인되면 연장 근무에 돌입해 4분기 생산량을 최대한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합의를 거쳐 일요 특근도 시행하기로 했다. 현대차 일요특근은 주 52시간제가 시행된 2018년 7월 이후 없었다.

현대차 노조 파업 / 뉴스토마토

공장 대표부가 반대
결국 노조도 반대표로 돌아섰다

노조원들은 대부분 동의했지만 문제는 공장 대표부였다. 지난 11월, 현대차 사업부 대표는 특근과 관련해 9개 사업부 대표 회의를 진행했으며, 완성차 1~5공장 사업부 대표들은 특근 동의 서명을 거부하고 일요일 특근을 실시하지 않는다에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사업부 대표는 “노동계는 노동 단축을 위해 수십 년간 싸워왔다”라며 “조합원의 건강권을 해치는 주 7일 노동을 현실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라고 전했다. 현재 조합원을 대상으로 특근과 관련해 동의서를 접수하고 있었지만 사업부 대표가 공식적으로 노조 지도부에 반대 입장을 낸 것이다.

현대차 노조 파업 / 뉴스토마토

공장 대표부는 말 그대로 공장을 대표하며 공장 전체 근로자를 감독하기 때문에 노조원들에게 큰 영향을 행사할 수 있다. 대표부가 특근 반대하라고 하면 노조원들은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노사는 당초 특근에 대해 합의를 해놨는데, 공장 대표부로 인해 노조 역시 반대표로 돌아선 상황이다.

현대차 측도 난감해하고 있다. 지난달에 두 차례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에 특근을 신청했다가 자진 철회했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관계자는 “특별 연장근로 신청 시에는 현장 근로자 2만 8천 명의 동의서가 필요한데, 현대차가 두 차례 모두 서류를 보완할 수 있는 기간 내에 동의를 받지 못했다”라며, “추가 접수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이로써 4분기 목표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을지 불투명해졌다. 게다가 한국타이어 파업 여파도 있다.

현대차 공장 / 미래경제

특근 반대는 노조 선거 의식?
협상력 높이기 위해 시간 끌기?

노사가 합의했는데, 사업부 대표가 반기를 든 점은 이번 달 말에 있을 노조 선거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울산공장 내 각 계파가 현 지도부와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지율을 끌러 올리기 위한 정치적인 계산이 깔렸다는 분석이다.

또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시간을 끄는 거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특근을 새벽을 하게 되면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으며, 최대한 유리한 쪽으로 이끌기 위해 반대한다고 볼 수 있다. 특근과 관련해 시간을 오래 끌수록 손해는 보는 쪽은 목표 생산량을 채우지 못한 현대차가 더 크게 본다.

안현호 당선인 / 현대차 노조

초강성파로 불리는
안현호 후보 당선
2년 만에 다시 강성노조 구성

최근 현대차 노조 차기 지부장 선거가 있었다. 제9대 임원 선거 2차 투표를 실시한 결과 안현호 후보가 차기 지부장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 전체 조합원 4만 8,7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2차 투표에서 2만 2,101표(53.3%)를 얻어 권오일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되었다.

안현호 당선인은 금속연대 소속으로 과거 수석부위원장을 지냈고, 1998년 현대차 정리해고 반대 투쟁을 이끌었다. 2007년 현대차 성과급 관련 시무식 난동 사건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다.

제 9대 임원 선거 모습 / 동아일보

안현호 당선인은 강성 중에서도 초강성파인데, 선거 유세 기간 동안 내세운 구호가 노사 협조주의 청산, 강력한 민주노조”를 구호로 내세웠다. 공약으로는 상여금 전액 통상임금 적용, 경영이익 30% 성과급 지급, 식사시간 1시간 유급화, 정년 연장, 일반직과 여성 조합원 처우 개선, 4차 산업혁명 고용대책 마련 등을 내걸었다. 이번에 낙선한 권오일 후보 역시 강성파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이로써 현대차 노조는 2년 만에 다시 강성노조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년 연장에 대해 크게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정의선 회장은 청년 일자리를 4만 6천 개 창출할 것이며, 청년 더 뽑는 게 현대차의 의무라고 선언한 바 있으며, 실제로 내부 이야기를 들어본 결과 정년퇴직을 앞둔 수많은 근로자들을 대체할 인력 구상까지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에 들어선 노조 지도부는 정년 연장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회사 입장에서는 상당히 난감해할 것이다.

현대차 노조 파업 / 조선일보

임단협 무분규 타결
앞으로 기대하기 어려울 듯

현대차는 올해까지 3년 연속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했다. 현대차 노조는 거의 매년 임단협 과정에서 연례행사처럼 파업을 해온 탓에 3년 연속 무분규로 타결했다는 사실이 어떻게 보면 신기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 무분규 임단협 타결은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강성 노조가 들어서 있었을 때 7년 연속 파업한 전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안현호 당선인이 강력한 구호와 공약을 내세웠고, 정리해고 반대 투쟁 주도, 시무식 난동 사건 전력도 있다 보니 예전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조 파업 / 서울신문

전동화 전환 이슈에서
노사 갈등 초래 가능성

현대차는 앞으로 미국에서 파는 전기차는 미국에서 생산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기존에는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했다. 이번에 공개되었던 GV70 전기차를 시작으로 EV6, 아이오닉 5 등도 미국 판매 물량은 미국에서 생산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 생산 물량이 미국 공장으로 건너가는 만큼 한국 공장은 일거리가 줄어들게 되며, 이는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현대차 노조 역시 이를 가만히 두고 볼 리가 없다. GV70 전기차 미국 생산 소식이 나왔을 때 심하게 반발한 바 있다. 앞으로도 전동화 전환 과정에서 노사 갈등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 공장 / 조선일보

일도 제대로 안 하면서
이득만 챙기려고 한다

현대차 노조에 대한 대중들의 시선은 좋지 않다. 왜냐하면 일을 제대로 안 하면서 이득만 챙기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예가 바로 효율성인데, 현대차 울산공장의 효율성은 전 세계 다른 자동차 공장과는 물론 현대차 해외공장과 비교해도 효율성이 낮은 편에 속한다고 한다. 차 한대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다른 공장 대비 긴 반면, 인건비가 업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필요 인원에 비해 직원들도 꽤 많이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편성효율이 57.8%에 불과하다. 공장에 직원이 1,000명이 있다고 하면 578명만 일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편성효율만 보면 거의 절반은 놀고 있다는 것이다. 근무태만 행위도 적발된 바 있다. 3명이서 해야 되는 일을 돌아가면서 한 명에게 일을 몰아주고 나머지 2명은 쉬고 있으며, 올려치기 및 내려치기를 통해 휴식시간을 자체적으로 늘렸으며, 조기 퇴근까지 하기도 했다.

현대차 공장 / 뉴데일리경제

근무 중 영상 시청이나 게임을 하기도 한다. 실제로 공장 내부에서 촬영된 영상에 근로자가 이어폰을 끼고 영상을 보면서 조립하는 영상이 나오기도 했다. 현대차는 근무 시간에는 와이파이를 차단하는 조치를 내린 적이 있었지만 노조가 특근을 거부하며 반발하는 바람에 다시 차단을 해제했다.

이런 근무 환경에서 생산을 하니 품질 문제도 꽤 자주 나오고 있다. 다른 부분은 몰라도 나사가 제대로 조여저 있는 부분, 특정 부품이 제대로 조립되지 않거나 아예 누락되는 경우와 같은 기본적인 품질 문제는 근무할 때 제대로 집중하지 않고 신경 안 쓰니깐 나오는 문제다.  근로자들 권리를 지키는 것은 좋지만 그전에 일부터 제대로 하는 것이 먼저다. 

현대차 공장 / 서울경제

이제는 아예
경영 간섭까지 한다

경영과 관련된 것은 경영진들의 고유 권한이다. 물론 근로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영에 대해서는 노조가 나설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도 아닌데 월권을 행사해 경영에 간섭하려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왔다.

2015년 임단협 당시 현대차 노조는 국내, 해외 자동차의 생산량을 노사 간 합의하자는 조건을 넣었다. 원래는 국내 생산량에 대해서만 협의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해외 공장까지 적용하자는 것이다. 이는 곧 노조의 지나친 월권이라는 지적을 받았으며, 근로조건을 넘어 경영까지 개입한다는 비판이 거셌다. 해외 생산 문제는 경영자의 권한이며, 협의를 해도 해외 노동자와 하는 것이지 국내 노조가 여기에 개입할 이유는 없다.

현대차 노사 회동 / 중앙일보

올해는 노조가 사 측에 미래차 핵심 부품과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신성장 사업을 모두 국내에서 연구, 생산할 것을 명문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글로벌 강국의 자국 중심주의 확산으로 해외 공장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현대차의 경쟁력을 깎아먹는 요구일 뿐 아니라 과도한 경영권 간섭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거기에 전기차 배터리 직접 생산도 요구한 바 있었다. 전기차 배터리 개발은 상당히 많은 비용과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 괜히 전기차 가격 중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이 아니다. 투자 대비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아직까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배터리 개발에 나서는 것은 현재로서 도박에 가깝다. 그럴 리는 없겠지만 차라리 LG에너지솔루션이나 SK이노베이션을 거액을 들여 인수해 자회사로 두는 것이 훨씬 나을 수도 있다.

현대차 노조 파업 / 중앙일보

여기에 정년 연장과 미국 투자 철회, 해고자 복직 요구와 이사회 개최 일정, 사업 계획과 개발 계획, 고정 자산 변경, 국내외 투자 등에 대한 사항을 노조에 사전 통보할 것도 요구 사항에 담았다. 사실상 모든 경영 사항을 노조와 협의하거나 사전 고지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노조의 경영권 간섭은 장기적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을 갉아먹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 네티즌들은 “현대차가 망할 리는 없겠지만 망하게 된다면 노조 때문이다”, “공장들 다 해외로 이전해야 세계적으로 더 성공할 수 있을 거 같다”와 같은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차 공장 / 뉴시스

소비자에게
피해가 오기도 한다

현대차 노조는 임금 인상 등 이유로 자주 파업을 벌여왔다. 파업을 하게 되면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차가 생산이 안되고, 이렇게 되면 결국 소비자들은 차를 더 늦게 받게 된다.

이번에 강성노조가 들어섰는데, 요즘 같은 반도체 부족난 상황에서 만약 노조가 파업을 실시하면 인도 대기까지 정말 하염없이 길어질 수도 있다. 그 외에 위에서 언급한 품질 문제도 소비자 피해 중 하나다. 이렇다 보니 대중들은 현대차 노조에 대해 좋은 시선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autopostmedia@naver.com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1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