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이슈플러스 “역시 호구들은 상관없죠” 한국서 번 돈 미국에 다 쏟아 붓는 현대차가 미국에서...

“역시 호구들은 상관없죠” 한국서 번 돈 미국에 다 쏟아 붓는 현대차가 미국에서 벌이고 있는 일

3

미국서 잘나간다는 현대차와 기아
화재 위험으로 또 리콜이다
소비자, “대한민국은 상관 없겠죠?”
이번에도 과연 그럴까?

독자는 어떤 상황에서 불안감과 공포감을 느끼는가? 아마 물이 무서워 수영을 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혹은 높은 곳을 두려워하는 고소공포증을 가진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혹시 ‘불 공포증’을 가진 이는 없는가? 불길이 치솟는 이미지만 떠올려도 소름이 돋는 이가 분명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불길이 내 차에서 시작된다면? 이보다 끔찍한 일이 있을까.

최근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에서 리콜을 실시한 것도 이와 연관된다. 다름 아닌 ‘화재의 위험성’이 포착됐기 때문에 리콜을 실시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소비자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결함 자체도 문제지만,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정지현 에디터

“야외 주차하세요”
화재 우려 때문이다

최근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에서 판매한 싼타페, 투싼, 스포티지 등 48만 5,000여 대의 차량 소유주들에게 전한 말이 화제다. “정차 상태에서도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야외 주차를 권고한 것.

정확한 대상 차량은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 생산된 기아 스포티지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된 K900, 2016~2018년형 현대 싼타페, 2017-2018년형 싼타페 스포츠, 2019년형 싼타페 XL 및 2014년형 및 2015년형 투싼 등이다.

왜 불이 날까?
‘이것’이 문제였다

그렇다면 왜 불이 날 수도 있다는 걸까? 현대차와 기아 측이 밝힌 이유는 ‘ABS 컨트롤 모듈의 오염’이다. ABS는 ‘안티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도 불리는데, 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특수 브레이크다. 이 시스템에 이물질이 유입돼 합선이 발생하고, 엔진 화재까지 이어질 가능성 문제가 확인된 것이다. 다만 현대차는 이와 관련한 11건의 화재 신고에 인명 피해는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는 딜러들을 통해 제어 모듈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퓨즈를 교체해 줄 예정이다. 이번 리콜은 고속도로교통안전국이 현대차와 기아의 엔진룸 화재에 대한 일련의 조사를 강화한 후 나온 조치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네티즌 반응
심상치 않다?

그런데 해당 소식에 대한 국내 네티즌의 반응이 뭔가 심상치 않다. “리콜은 미국에서만 하고 한국에서는 가격을 올리고”, “한국 국토교통부는 뭐 하는 거냐”, “한국에서 비싸게 차 팔고 해외에서 리콜 비용으로 다 퍼주는 듯”, “미국만 소비자이고 한국은 다른 회사서 만드나 보다” 등의 비판적인 반응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반응이 몇몇 있었는데, “또 우리나라는 해당 없다고 하려나요?”, “대한민국은 상관없겠죠?” 등이 그것이다. 불신이 처음부터 뿌리 깊지는 않았을 터, 이런 반응이 여럿 나오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런 일이 전에 있었나?”
과거로 잠시 돌아가 보자

불신의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 과거로 시간 여행을 해보자. 2008년, 약 12년 전에도 이와 같은 논란이 제기된 적이 있다. 미국에선 2008년에만 5건의 리콜을 진행한 현대차가 국내선 단 두 건의 리콜을 진행하는 데에 그쳤기 때문이다.

당시 한국 자동차 소비자 연맹의 회장은 “미국에서의 리콜 횟수가 한국보다 더 많다는 것은 국내 소비자의 안전을 외면하는 것으로 밖에 해석이 안 된다”라며 국내 리콜에 소홀한 현대차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드러낸 바 있다.

세타 2 엔진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대규모 리콜 사태로 이어진 세타 2 엔진 화재 사건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2010년대를 떠들썩하게 만든 이 사건은, 크랭크축과 커넥팅 로드 베어링이 심한 마찰을 일으켜 접촉면이 서로 붙어버리는, 이른바 ‘소착 현상’이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당시 현대차는 세타 엔진 결함에 대해 미국서 대규모 리콜을 실시했던 바 있다. 문제는 국내에선 리콜조차 순조롭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대차의 해명이 국내 소비자를 분노케 했는데, “국내 모델에는 해당사항이 없다”라고 주장한 것이 큰 논란이 됐다. 그간 수출형과 내수형 모델의 차이가 없다고 주장해온 현대차였기에 이와 같은 발언이 “신빙성이 없으며, 모순적”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한 가지 다행인 것은 이번 사례의 경우, 현대차와 기아가 국내서도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힌 것이다. 실제로 현대차 관계자는 한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직접 “국내에서도 동일 차종에 대해 리콜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세타 2 엔진, 코나 EV 등 현대차와 화재는 아무래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듯 보인다. 국내외로 해당 리콜이 잘 이뤄져 모든 소비자가 안심하며 운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랄 뿐이다. 현대차가 ‘화재’보다는 ‘화제’의 차량을 만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마친다.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3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