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진짜 생각도 못했네요” 전기차 충전소 부족은 전기차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0
2995

전기차와 PHEV의 판매량이 점차 늘어가면서 지속적으로 문제 되는 충전 문제, 차주 간 충전 갈등이 심화되고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이 시급한 요즘이다. 30일 업계 및 동호회에 따르면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PHEV 오너들과 전기차 오너들 사이에서 불편한 논쟁이 오가고 있다.

대체 어떤 일이길래 두 차종 사이에서 이슈가 발생한 것일까? 논쟁의 요지는 PHEV 오너들이 충전시설을 독차지하고 있어 불편하단 내용의 이슈다. 즉, 전기차 대비 배터리 용량이 작은 PHEV 오너들이 급속충전기를 완속 충전기로 사용하며 의도적으로 오랫동안 주차를 하게 되며 발생된 이슈다. 오늘 이시은 충전 인프라에 대해 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해보자.

 권영범 수습 에디터

늘어나는
보급률 대비
여전히 부족한 충전소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차 보급 정책과 제조사의 꾸준한 신차 출시는 매년 꾸준한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늘어만 가는 전기차 보급률 대비 충전 시설의 문제는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주거 환경 특성상 개인만을 위한 완속 충전기 설치가 어렵다. 그러다 보니 역시나 공용 완속 충전기 혹은 급속 충전기의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다수가 이용하는 만큼 크고 작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 =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서울시에
등록된
충전시설 9,947개
현행 서울시에 등록되어 운영 중인 충전시설은 9,947개소다. 그러나 지난달 7월 기준 전기차 등록대수는 29,300여 대 수준으로 충전소 비율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다.

개인이 휴대하여 충전할 수 있는 완속 충전기 또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충전을 할 수 없으므로 지정된 장소 혹은 허가받은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서울시에서는 2025년까지 전기차 27만 대를 보급, 충전기는 20만기를 설치할 것을 약속했다. 2025년을 기다리며 20만기를 기다리는 동안 당장에 부족한 충전소 개소는 어찌할 도리가 없는 건지 궁금해진다.

실제로 아파트를 보면 충전 구역이 적어 서로 자릴 차기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PHEV가
뭐길래 그러죠?
전기차의 약점인 충전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방식이며 전기자동차 방식과 하이브리드방식을 혼합한 거다.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는데 하이브리드 차량에 추가적인 배터리팩을 장착하여 소프트웨어 로직을 손보는 방식, 전기차 파워 트레인에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발전용 엔진을 장착한 형태로 나뉜다.

향간에 후자 방식이 전기 차냐 아니냐 논란이 많았는데…. 아무튼 보통 PHEV로 불리는 방식이 전자에 속하며 과거 LF 쏘나타 PHEV와 니로 PHEV도 이와 같은 방식이었다.

대한민국에선 PHEV가 매력적이지 않은 차다. 우선 전기자동차 대비 부족한 EV 모드 주행거리, 배터리 무게가 한두 근 하는 게 아닌지라 무게 증가로 인한 연비 저하 그리고 보조금이 500만 원밖에 지원이 안된다는 점이다. 현행 국산 브랜드에서 PHEV를 생산하는 곳은 없다.

PHEV의 잦은 충전은
전기차 오너들과
불화를 만든다
인트로에 서술했던 내용을 인용해보자. 우선 PHEV는 전기차 대비 배터리 용량이 20%밖에 안된다. 이러한 이유로 당연히 전기차에 비하면 충전을 자주 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급속충전기 사용은 지양해달라는 권고문도 쉽사리 찾아볼 수 있다. 오해 말자, 권고사항일 뿐이지 강제성을 띠고 있지 않다. 이렇게만 보면 PHEV 오너들이 불합리한 대우를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그렇지가 않다.

PHEV 오너들은 권고문대로 움직여 줬지만 충전이 다 되고 났음에도 불구하고 차를 뺄 생각을 안 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PHEV뿐만 아니라 전기차 오너들끼리도 대두되는 트러블이다.

당연히 충전소의 수가 늘어나면 이러한 이슈거리도 줄어드는 게 당연하겠지만, 실상 아직까지 정부에서 뾰족한 수를 내놓고 있질 않고 있으니 전기차 오너들과 PHEV 오너들은 오늘도 어디선가 충전 문제로 인해 싸우고 있을 것이다.

PHEV에 대해 조금만 더 첨언을 해보자면, 굳이 배터리가 없어도 주행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배터리가 다 닳았다면 하이브리드처럼 운행하면 된다. 전혀 문제 될 게 없지만, PHEV를 구매하고 운행하면 당연히 활용하고 싶은 게 오너의 마음이다. 그리고 제조사에서 활용해서 운행하라고 만들어놓은 기능이기도 하다.

하루빨리 인프라 대책이 세워져야 할 시기다. 이제 제조사와 국가에서 말하는 D-DAY가 얼마 남지 않았다. 과연 약속한 그날에 우리 사회는 여전히 전기차 충전 이슈로 인해 서로 얼굴 붉힐 일이 생길까? 아니면 약속한 대로 보급이 완료되어 갈등이 해소되어 눈치 보지 않고 차를 유지할 수 있을지 생각이 깊어지는 주재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autopostmedia@naver.com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