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어린 시절, 동네마다 골목을 주름잡던 “골목대장”이 한 명씩 있었다. 골목대장은 다른 동네에선 기를 통 못쓰지만, 자기 동네에서만큼은 아이들을 주름잡으며 골목을 휘젓고 다니곤 했다. 국내 자동차 시장에도 골목대장처럼 국내에서만큼은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는 브랜드가 있다.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이다.
국내 시장에서만큼은 독일 3사 부럽지 않은 브랜드 파워를 보여주고 있는 제네시스가 두 번째 SUV 라인, GV70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동급 경쟁 차종으로는 벤츠, BMW, 아우디 등 쟁쟁한 프리미엄 SUV들이 기다리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에서는 프리미엄 SUV 시장에서 GV70과 경쟁을 벌일 수입차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본다.
글 이충의 인턴
강력한 SUV 디자인에
스포티한 느낌을 가미했다
올해 초 출시된 GV80을 이어 제네시스의 SUV 라인을 확장할 두 번째 모델, GV70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GV80이 SUV의 강력한 역동성과 함께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면, GV70은 강력한 주행 성능을 기반으로 한 스포티한 느낌을 더욱 강조했다.
날렵한 전면부 보닛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굵고 단단해지는 듯한 차체의 모습은 역동성과 스포티함을 동시에 담아낸다. 측면부 곡선형 파나볼릭 캐릭터 라인은 GV70의 스포티한 주행 성능을 강조한다. GV80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쿠페형 루프라인도 GV70만의 차별화된 디자인 포인트이다.
가격 대비 뛰어난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GV70은 가솔린 2종, 디젤 1종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파워트레인으로는 현대 스마트스트림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가 조합된다. 가솔린 모델에는 2.5 터보 엔진과 3.5 터보 엔진이 사용되며 각각 304마력, 380마력의 강력한 주행 성능을 보여준다. 디젤 모델에는 2.2 디젤 엔진이 사용되어 최고 출력 210마력, 최대 토크 45.0kg.m의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가솔린 2.5 터보 모델과 디젤 2.2 모델은 2WD, AWD 모델로 출시되며 3.5터보는 AWD 모델로만 출시될 예정이다. 외신들은 북미 G70 가격에 기반하여 국내 출시되는 GV70의 가격이 4,660만 원부터 시작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만약 예측대로 가격이 책정된다면 국내 프리미엄 SUV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벤츠 GLC와 GV70의
경쟁 포인트는
브랜드 파워 VS 가성비이다
국내 프리미엄 수입 SUV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는 벤츠 GLC의 기본형 트림 가격은 디젤 2.0 모델 6,750만 원부터 시작한다. 기본형, 쿠페형, AMG 쿠페형의 큰 틀에서 가솔린, 디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9가지 트림으로 나뉘며 총 11종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벤츠 GLC의 메리트는 무엇보다도 압도적인 브랜드 파워를 갖고 있는 삼각별 프리미엄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35년간 쌓아 올린 벤츠의 기술력과 클래식한 감성의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도 벤츠 GLC가 갖고 있는 경쟁력이다.
압도적인 프리미엄 브랜드 파워를 갖고 있는 벤츠 GLC와 비교하여 GV70이 갖는 경쟁력은 “가성비”이다. 기본형만 따졌을 때, 6,840만 원부터 시작하는 GLC 디젤 모델의 최고 출력은 194마력이며 7,080만 원의 가솔린 2.0모델은 최고 출력 258마력의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반면 GV70의 주행 성능은 가솔린 2.5터보가 최고 출력 304마력, 디젤 2.2 모델이 최고 출력 210마력의 주행성능을 갖추고 있다.
때문에 파워트레인 성능 측면에서만 보면 예상 기본가 4,660만 원인 GV70의 가격 대비 성능이 GLC에 비해 경쟁력 있다. 하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림을 지원하는 GLC와 달리 GV70은 하이브리드 트림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 대목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이 갈릴 수 있을 것이란 예측이 이어지고 있다.
BMW X3와의 경쟁력은
AWD 트림의 가격에 달려있다
벤츠의 뒤를 잇는 프리미엄 브랜드, BMW의 X3도 GV70과 경쟁할 차종이다. BMW X3의 기본형 가격은 가솔린 2.0모델 6,410만 원부터 시작한다. 2021년형 X3는 가솔린, 디젤에서 2.0,3.0엔진의 4가지 트림으로 구분되며 6종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X3의 메리트는 BMW 특유의 상징 키드니 그릴을 중심으로 고급스러운 SUV 외관과 뛰어난 주행 성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 트림에서 8단 변속기와 풀타임 4륜 구동을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보다 강력한 SUV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X3는 2.0 가솔린 모델이 최고 출력 183마력, 3.0 가솔린 모델이 최고 출력 265마력으로 수치상으로는 GV70에 비해 낮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2WD와 AWD를 구분하는 GV70과 달리 X3는 사륜구동을 기본 탑재하기 때문에 GV70의 세부 가격 정보에 따라 경쟁력이 갈릴 전망이다.
또한 BMW X3는 벤츠 GLC와 마찬가지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지원하기 때문에 선택지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GV70이 조금 불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X3와 GV70의 경쟁 구도는 트림별 가격대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아우디 Q5는
500만 원 상당의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아우디 Q5는 가솔린 2.0 모델이 6,071만 원부터 시작하며 4개의 트림에서 6종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아우디는 독일 3사라는 브랜드 파워 외에도 현재 5~600만 원 상당의 즉각적인 프로모션이 제공되고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아우디 Q5는 가솔린 2.0 모델이 최고 출력 252마력, 최대 토크 37.7kg.m, 디젤 2.0 모델이 최고 출력 190마력에 최대 토크 40.8kg.m의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프로모션이 적용되어 5,500만 원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선 가격 대비 성능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디젤 게이트 이후 아우디의 브랜드 파워는 같은 독일 3사 라인 벤츠, BMW에 비해 떨어진 상태이다. 때문에 프로모션과 가성비, 브랜드 파워 측면에서 소비자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높은 안전성, 주행 성능의
볼보 XC60
문제는 가격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전격 개편된 볼보 XC60은 기본형 가격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GV70과 견줄만한 상당한 장점을 갖고 있다. 2020년형 모델이 단종된 XC60은 현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림만 선택 가능하며 가솔린 2.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기본 7,009만 원부터 시작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높은 연비와 주행 성능은 분명한 메리트이다. 거기에 까다로운 안전 기준을 적용한 볼보만의 안전성은 SUV 차급에서 특히 경쟁력이 있다.
볼보 XC60 가솔린 2.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318마력의 가솔린 엔진과 65kW의 전기 모터의 조합으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1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5.3초에 불과하며 동급에선 가장 강력한 주행 성능을 보여준다. 다만 기본형 가격대가 GV70은 물론 타 브랜드보다 높은 편이어서 GV70과는 가격 측면에서 고민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렉서스 NX, 불매운동의
여파가 관건이다
하이브리드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렉서스 NX도 프리미엄 SUV 시장에서 GV70과 경쟁할 모델 중 하나이다. 2021년형 렉서스는 가솔린 2.0 터보 모델과 2.5 하이브리드 2개의 트림으로 5종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가격대는 5,810만 원부터 시작한다.
하이브리드의 정석이라 불리는 렉서스의 기술력과 일본 차 특유의 잔고장 없는 내구성은 분명한 메리트이다. 게다가 자체 프로모션으로 135만 원이 즉시 할인되어 가격 경쟁력도 갖추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불매운동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어 GV70과는 일본 차와 국산차라는 경쟁 구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북미 시장 판매량 꼴등”
수모를 갚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대자동차는 북미 시장으로의 진출을 꾀하며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를 야심 차게 출범시켰다. 하지만 초기의 의도와는 달리 제네시스는 북미 시장에서 연일 저조한 판매량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제네시스는 현재 국내 프리미엄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골목대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압도적인 가성비와 스포티한 외관을 장착한 GV70은 국내 시장에서 동급 프리미엄 SUV와의 경쟁을 준비하고 있다. 가격과 성능적인 측면에선 이미 프리미엄 브랜드와의 경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제네시스의 상품성과 경쟁력이 국내 시장을 넘어 북미, 나아가 세계 시장에서까지 발휘되길 기대해본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