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 토마토)

최근 국내 휘발유와 경유가격이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전국적으로 평균 1,200원대 주유소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게 됐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10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ℓ당 4.1원 내린 1,338.4원으로, 경유 가격 역시 ℓ당 4.5원 내린 1,139.2원으로 집계됐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우리 동네에서는 비싼 기름값이 옆 동네로 가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 어떤 곳은 누가 맞춰놓은 것처럼 동일하기도 하다. 이에 소비자들은 “국제 유가는 똑같은데 왜 주유소마다 가격이 다른 것이냐?”라며 불만을 제기하는 상황이다. 어떤 이유로 기름값이 천차만별인지 궁금해진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는 주유소 기름값의 진실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본다.

정지현 인턴

“국제유가는 반 토막 났는데
왜 주유소 가격은 찔끔 내렸냐?”
올해 들어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전국 주유소의 기름값도 일제히 떨어진 사례가 있다. 자동차에 주기적으로 기름을 넣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쁜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일각에선 오히려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화제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다름 아닌, 국제유가는 60%나 하락한 것에 비해 주유소 가격은 소폭 하락한 것이 그 이유다. 올해 국제 유가는 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원유 수요가 급감한 데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산유국이 ‘원유 전쟁’에 돌입한 영향을 받아 대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국제유가는 반 토막 났는데 왜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찔끔 내렸냐”라며 의문을 제기하는 상황이다.

(사진=울산제일일보)

국제 유가와 국내 주유소 기름값
시간차를 두고 반영한다
국제 유가가 하락한다고 해서 기름값이 바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기름을 구매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팔면 손실이 나는 구조라 주유소들이 가격 인하를 미뤘다가 재고를 소진한 뒤 가격을 내리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름값 인하 효과를 곧바로 체감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환율과 시차도 국내 기름값의 하락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정유사들은 달러화로 원유를 사들이는데,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원유 수입가격이 올랐다. 게다가 수입한 원유는 석유제품으로 정제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국제유가는 통상 2~3주의 시차를 두고 국내 휘발유 가격에 반영된다.

정유사들은 대부분 기름을 구입할 때 하루 단위의 가격이 아니라 3개월 평균가로 구입한다. 3개월 단위로 계산할 경우 평균가가 계속 오르기 때문에 계속해서 국내 유가가 상승하는 것이다. 보통 정유사들은 한 주 전 싱가포르 국제가격에 비례에 주간 공급가격을 책정한다. 정유사 휘발유 공급가가 대부분 싱가포르 국제가격 흐름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 그 증거다.

그러나 같은 기간 주유소 마진과 유통비용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실제로 장기간 기름값이 많이 올랐을 때도 싱가포르 국제 가격은 하락했는데, 주유소 마진과 유통 비용은 상승했던 선례가 있다. 이는 다시 말해, 결국 주유소가 마진율을 높이면 그만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제 유가가 하락세를 보인다면 마진율을 높여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다.

최소 820원을 차지하는
세금도 문제다
또 다른 이유는 세금이다. 대한 석유협회 관계자는 “각종 세금이 고정으로 붙기 때문에 국제유가가 아무리 떨어져도 국내 기름값은 그만큼 내릴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한 바 있다. 예컨대, 국내 휘발유를 기준으로 붙는 세금은 L 당 교통세 529원, 교육세 79.35원, 주행세 137.54원 등 유류세 745.89원이다. 여기에 주유소 판매 가격의 10%도 부가세로 더한다면, 휘발유 1L를 구입할 때 세금으로만 적어도 820원을 지급해야 한다.

더불어 원가와 수송비, 정유사·주유소 마진 등을 더해 최종 휘발유 판매가가 결정되니 휘발유 가격이 L 당 1300원일 경우, 세금만 875.89원을 차지하는 격이다. 결국 원유 가격이 아무리 폭락해도 높은 세금 비중으로 인해 L 당 820원 이하의 휘발유는 등장할 수 없는 것이다.

주유소마다 기름값이
다른 첫 번째 이유,
주유소 위치와 가격 경쟁
그렇다면 지역마다 기름값이 천차만별인 이유는 무엇일까? 대표적인 이유로 위치와 주유소 업체끼리의 가격 경쟁을 꼽을 수 있다. 주유소가 있는 곳이 임대인지, 혹은 자신의 부지인지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도 한다. 같은 임대라도 임대료에 따라 그 차이가 커지는 것이다. 만약 임대료가 비싼 지역일 경우엔 연료값도 동반 상승하는 셈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경기도 외곽에 있는 곳보다 서울 강남 한복판의 입지 비용이 비싸고, 이를 메우기 위해선 마진율이 더욱 높아야 하기에 기름값이 비싸지는 것이다.

주유소 가격 경쟁이 덜한 지역일수록 기름값이 비싸진다. 예컨대 23만 명의 인구가 있는 서울 용산구엔 주유소가 14개밖에 없다. 그렇다면 굳이 옆집 주유소와 가격 경쟁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산구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전반적으로 비싸질 수밖에 없다.

브랜드 및 정유사마다 다른 공급 가격
법인카드를 쓰는 운전기사
거래처 협약을 맺은 회사
브랜드 및 정유사마다 공급 가격이 다른 것도 주유소마다 기름값이 다른 이유다. 국내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정유사 세전 공급가, 정부 세금인 유류세, 주유소 마진 등으로 구성된다. 유류세는 모두 같지만 자영 또는 직영 주유소인지, 정유사로부터 물량을 얼마에 어느 정도로 공급받는지 등에 따른 변수로 기름값이 차이가 난다. 이 밖에 주유소마다 정비, 세차 등의 서비스 체제도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법인카드를 쓰는 운전기사와 거래처 협약을 맺은 회사 등도 이유가 될 수 있다. 간혹 유난히 기름값을 비싸게 받는데도 불구하고 차량들이 줄지어 들어가는 주유소가 있다. 이러한 주유소는 법인카드를 쓰는 운전기사들이나 거래처 협약을 맺은 회사 차들이 주 고객인 경우가 많다. 이 중에서도 유난히 비싼 주유소는 기사와 주유소 사이에서 은밀한 거래가 오가기도 한다. 이러한 주유소는 평균가보다 600원 정도를 올려 받고, 수익의 일부를 기사들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그들만의 거래를 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맞춰 놓은 듯 동일한
제주도 주유소 기름값
간혹 어떤 지역에서는 누군가 맞춰 놓은 것처럼 기름값이 동일하기도 하다. 이러한 경우엔 지역 주유소끼리의 가격 담합을 합리적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제주도의 주유소들이 기름값을 통일한 사례를 예로 들 수 있다.

마치 짜고 가격을 매긴 듯한 제주시 지역의 기름값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제주는 좁은 지역 사회다. 주유소 주인들이 서로 눈치를 보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동종업자에 대한 눈치 보기로 인해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피해를 보는 것은 시민들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훨씬 싸게 주유가 가능한데, 상향 평준화된 가격을 보고 있자니 한숨이 안 나올 수 없다.

합리적인 선택
셀프 주유소
지역마다 천차만별인 기름값이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은 보다 저렴한 셀프 주유소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셀프 주유소의 기름이 저렴한 이유는 이름 그대로 운전자가 주유를 직접 하기 때문이다. 주유소의 기름값에 영향을 주는 인건비가 들어가지 않아 기름을 조금 더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게 셀프 주유소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스스로 주유하는 방법이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셀프 주유소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대체적으로 셀프 주유소들은 본사 직영인 경우가 많아 가격 조정에서 조금 더 자유로울 수 있지만 셀프 주유소도 역시 지역마다, 브랜드마다 가격대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의 한국은 일명 자동차 강국이라고 불린다. 글로벌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 차 브랜드가 많은 만큼, 자동차 소유자 비율도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자동차 관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등록대수가 2,344만 4,165대에 이른다. 인구 2.2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한 셈이다. 국토부는 1인 가구 증가, 세컨드카 수요 등으로 당분간 자동차 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동차가 점점 많아지는 만큼 주유소를 찾게 되는 사람들도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다른 선택지는 없으니, 매번 찾게 될 수밖에 없는 게 바로 주유소다. 국제 유가로 기름값이 달라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가격 담합 또는 불법 행위로 인해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autopostmedia@naver.com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