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LG “전부 박살”.. 국산 배터리, 결국 터져버린 최악의 상황
조용혁 기자 조회수
전기차 시장의 지속된 성장에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은 호재
그러나 국내 업체는 점유율 감소?

전기차 시장이 한때 성장 둔화 조짐을 보였으나,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중 가장 돋보이는 곳은 단연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이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놀랍게도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은 예상치 못한 점유율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361.4GWh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주요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은 43.5%로 5.0%p 하락했다. 특히 삼성SDI는 북미와 유럽에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수요가 감소하면서 10.6%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중국 배터리 기업
시장 지배력 강화 중
반면,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은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며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주도권을 넓혀가고 있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은 지난해 97.4GWh의 배터리를 출하하며 시장 점유율 27.0%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9% 증가한 수치로, CATL은 브라질, 태국, 이스라엘, 호주 등 다양한 국가로 수출을 확대하며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BYD 또한 14.8GWh의 배터리를 출하하며 전년 대비 117.6%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나타냈다.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내수 시장에 머무르지 않고 해외 시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특히 CATL은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해 약 7조 27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한 뒤, 유럽 내 생산 시설을 확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불 떨어진 한국 배터리 업계
경쟁력 회복 위한 전략 추진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생산 확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SK온은 미국과 유럽에서 합작 공장을 설립하며 현지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주요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하며 배터리 안정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삼성SDI는 하이니켈 배터리 브랜드, 프라이맥스(Primax)를 통해 고용량·고효율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CATL이 유럽 내 생산 거점을 확장하면 한국 배터리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하며 “기술 혁신과 생산 효율성 개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