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배출가스 규제 나선 바이든 정부
2026년까지 연비 기준 23.4km/L 수준까지 올릴 전망
현대기아 포함한 모든 제조사들 비상사태

세계가 점점 친환경차 시장으로의 변화를 가속해 나가고 있다. 여러 차종의 전기차 모델이 출시되고 있는 지금, 대배기량이 매력적인 픽업트럭 모델에까지 전동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렇게 전동화로의 세대 변화는 이전부터 예고가 되어 왔지만, 최근 그 변화가 생각보다 한층 더 가속화될 소식이 전해져 시장 관계자 및 네티즌들의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고 한다. 과연 어떤 상황인 것인지 지금부터 살펴보자.

김성수 에디터

본격 친환경차 정책 펼치는 미국
내연기관 모델의 몰락이 예고됐다

최근 배출가스 규제와 관련한 미국 정부의 새로운 행보가 전해지며 화제를 모았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역대 가장 강력한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내놓은 것이다.

바이든 정부가 내놓은 기후 변화 규제 방침은 직전 트럼프 행정부 당시 후퇴했던 연비 기준을 그 이전 오바마 행정부 수준으로 되돌리는 것을 뛰어넘어 한층 더 강화된 기준을 제시했다.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미국 시장이기에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이 위 기준을 간과할 수 없을 전망인데, 생각보다 그 문턱이 높아 우려를 지울 수 없는 상황이다.

미 환경보호국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0일, 2023년형 자동차부터 연비 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2026년까지 자동차 연비 기준을 1갤런(약 3.78L)에 평균 55마일(88.51km)로 높인다고 밝혔다. 이는 23.4km/L에 해당하는 연비다.

위 정책은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 이후, 가장 높은 강도의 기후변화 관련 대책이라고 워싱턴포스트는 평가했으며, 당국은 위 정책으로 미국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의 약 2%가량을 감소시킬 것이라 분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에 대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표출해 왔다. 마이클 리건 EPA 청장은 성명에서 위 정책에 대해 “인류와 지구에 해를 끼치고 있는 공해를 공격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강력하고 엄밀한 기준을 세울 것”이라며 이번 조치를 ‘거대한 진전’으로 평가했다.

국내 모델 중에는 23.4km/L 연비를
충족하는 모델을 찾기 어렵다

바이든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환경단체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고, 포드, GM과 같은 대형 제조사들도 “새 표준을 지지한다”라며 원론적인 찬성 입장을 보였다. 다만 파격적인 제도 변화이기에 우려의 목소리 역시 상당했다.

자동차혁신연합은 급진적인 정책인 만큼 많은 정부 보조가 필요하다 말했고, 노동계 역시 전기차로의 세대변화로 인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 방법을 촉구하고 있다.

내연기관차가 23.4km/L 수준의 연비를 지니기란 쉽지 않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판매되는 인기 차종들은 모두 23.4km/L의 연비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그나마 쏘나타 하이브리드, 니로 하이브리드, 코나 하이브리드 등의 모델이 20km/L에 근접하거나 다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또한 현대차의 미 주력 모델 팰리세이드는 12.6km/L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에서 더욱 활발한 행보를 예고했던 제네시스 역시 연비가 큰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G80, GV80, GV70 등의 주력 모델 연비는 모두 15km/L를 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 본격 발을 내디딘 현대기아차 역시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현대기아차는 바이든 정부의 제도에 부합하기 위해 새로운 내연기관 엔진 개발을 중단하고,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보급에 몰두하며 관련 모델의 출시 일정도 앞당길 계획이다.

그와 동시에 친환경차 생산 계획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을 증설해 아이오닉5와 EV6 등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수소 로드맵’을 가속화하여 한정적인 전기차 라인업을 보완할 전망이다.

이러한 행보에 네티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먼저 “이제 진짜 전기차 시대가 오겠다”, “전기차로 넘어갈거면 차라리 이런 식으로 빨리빨리 해치우는게 낫다”라는 반응을 보이는 네티즌도 있었지만, “무턱대고 이래버리면 뒷감당이 가능 한가”, “천천히 전기차로 넘어가야 뒤탈이 없을 것 같은데”, “국내 기업도 자칫하단 큰 타격 입을 수 있겠다”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국내 대표 제조사 현대기아차가 나름 발 빠르게 전기차 시장의 동향에 맞추어 갈 수 있었기에 이 같은 급격한 변화에 그나마 어느 정도 방향성을 갖출 수 있었다고 본다. 더군다나 현대차의 수소차 사업 역시 위기를 돌파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기아차야 어찌 위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하더라도, 여타 국내 제조사에 대한 우려는 피할 수 없어 보인다. 특히 쌍용차는 급격한 친환경차 시장으로의 변화에 맞춰 적절한 모델을 생산해낼 수 있을지 우려를 지울 수 없는 상황이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