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초기 경보 시스템 구축
바닥에서 온도 감지한다

전기차 화재 사고가 늘고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최신 차종 특성상 한 번 불이 붙으면 소방 인력이 도착해도 진화가 어렵고, 2차 폭발 가능성까지 존재해 심각한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실제 인천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도 화재가 발생해 주민 불안이 급격히 커진 바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인천 동구청이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는 조기 감지 시스템을 청사 주차장에 도입하며 적극적인 선제 대응에 나섰다.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감지를 통한 방어 체계를 갖춘 모범적인 사례로 보인다.


비정상적 열 사전에 감지
대형 참사 효과적 방어한다
인천 동구는 최근 구청 주차장 내 전기차 전용 구역에 전기차 화재 조기 감지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되면 바닥 센서가 작동해 주기적으로 온도를 측정한다. 차량 하부에서 비정상적 열이 감지되면 이를 즉시 경보로 전환해 관리자에게 알리고, 화재로 번지기 전 초기 대응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센서는 약 40도 내외의 열을 감지하는 즉시 반응해 화재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
동구는 해당 시스템 설치에 앞서 질식소화포와 리튬이온 배터리 전용 소화기를 청사 내 비치하며 전기차 화재 대응력을 강화해 왔다. 기존의 전기차 화재 대응이 물리적 진화에 집중됐다면, 이번 조기 감지 시스템은 위험의 탐지 단계부터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이 시스템은 특히 주차장처럼 폐쇄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참사로 번질 수 있는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한 번의 배터리 열폭주가 주변 차량, 건물, 인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초기 대응은 화재 안전의 핵심이다. 동구청은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구청을 찾는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전기차 인프라 확장에 따라 필수화된 대응 체계를 미리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기차 화재 대응 고도화
예방의 기준, 새로 세운다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차량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지만, 화재 대응 체계는 아직도 내연기관차 중심인 것이 현실이다. 조기 감지 시스템은 이런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일반 소화기로는 대응할 수 없고, 수십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재발화 가능성까지 높다는 점에서 장비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반면 온도 기반 자동 센서는 비가시적 초기 징후를 감지할 수 있어, 소방 대응 이전에 사전 경보 체계를 가동할 수 있다. 특히 공공기관 주차장은 시민 방문이 잦고 차량 밀도가 높기에, 전기차 1대의 이상이 주차장 전체를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고려했을 때 이번 동구의 조치는 예방의 기준을 새로 세우는 사례로 의미가 크다.
실제로 이번에 시행되는 조처는 다른 자치단체를 넘어 공영주차장을 비롯한 모든 주차장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예시로서, 향후 전기차 화재 안전 기준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과 기조가 같다. 이른 시일에 이 시스템이 모든 주차장으로 확대되길 바란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