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제조사 속이다 ‘딱 걸렸죠’.. 화재 터진 벤츠 전기차, 정부 격노했다

벤츠 코리아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허위 홍보 의혹
공정위는 추가 조사 진행

사진 출처 = 네이버 카페 ‘벤츠 GL CLUB’

벤츠 코리아가 또다시 소비자 신뢰를 뒤흔들 의혹에 휘말렸다. 이번에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허위 홍보 의혹이다. 정부 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까지 나서 추가 현장 조사를 벌였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중대한 처벌이 내려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특히 이번 사안은 단순한 광고 과장 수준이 아니다. 지난해 인천 청라 아파트 화재 사건과도 얽혀 있어, 소비자 안전 문제와 직결되는 심각한 사안으로 번질 조짐을 보인다. 소비자들의 분노가 들끓는 가운데, 향후 대응이 브랜드 전체 이미지에 꽤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출처 = ‘Electrive’

파라시스 배터리 사용 벤츠
이미 한 차례 홍역 치른 배터리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월 벤츠 코리아의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에 대해 제휴 딜러사를 상대로 추가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본사 대상으로 한 1차 조사에 이은 두 번째 강제 조사였다. 현재 공정위는 확보한 자료를 종합 분석해 안건 상정 여부를 검토 중이다.

핵심 의혹은 실제로는 파라시스 배터리셀을 장착하고 있으면서, 중국 1위 배터리 업체인 CATL 제품을 사용한 것처럼 광고했다는 점이다. 게다가 벤츠 코리아는 제휴 딜러사 직원들에게 소비자 응대 시 배터리 제조사를 CATL로 설명하라고 지시했다는 혐의도 받고 있다. 명백한 고의성 여부가 관건이지만, 현재까지 나온 정황만으로도 소비자 기만 논란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 당시, 화재 차량 대부분에 파라시스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벤츠 코리아의 배터리 품질 관리 및 안전성에 대한 비판 여론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인천시청’

이미 202억 원 과징금 전력
브랜드 이미지, 이대로 바닥치나

만약 공정위가 벤츠 코리아의 표시·광고법 위반을 인정할 경우, 관련 매출액의 최대 2% 이내 과징금이 부과된다. 특히 소비자 오인성이 크고 피해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기준 금액의 80~100%가 적용돼, 수백억 원 규모의 과징금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한편, 벤츠 코리아는 이미 2022년 배출가스 허위광고로 202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전력이 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과징금 수준에서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전기차 화재 사고라는 민감한 이슈와 결합해 소비자 신뢰도에 치명타를 입혔기 때문이다.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을 자처하는 브랜드가 국내 소비자 앞에서는 배터리 제조사조차 속였다는 사실이 드러난다면, 한국 시장에서 심각한 타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정위는 1·2차 조사에서 확보한 자료와 벤츠 코리아가 추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반 여부를 분석 중이다. 향후 전원회의 상정 및 처벌이 확정되면, 벤츠 코리아는 경제적 손실을 넘어 브랜드 이미지 회복 불가라는 최악의 결과를 마주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실망과 분노가 이미 임계점을 넘은 지금, 브랜드로서 어떤 책임을 질지 주목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김선욱 기자 Kimsw@autopo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