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차량 호출 기사
자율주행 모드에만 의존
야간 130km/h 무방비 주행

중국에서 한 차량 호출 서비스 기사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 모드에 의존한 채 휴대전화를 들여다보는 모습이 영상으로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사건은 중국 광둥성 포산에서 뤄딩까지 약 180km를 이동하던 여성 승객이 겪은 일이었다. 문제는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시속 130km로 달리는 도중, 운전자가 손을 완전히 핸들에서 뗀 채 스마트폰을 조작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승객은 불안에 떨며 조용히 영상을 촬영했고, 차량 호출 플랫폼과 경찰에 이를 신고했지만 돌아온 건 단 5위안짜리 쿠폰과 운전자에게 내려진 경고 한 장뿐이었다. 고속도로 위에서 승객의 안전은 아무런 실효적 보호도 받지 못한 채 기술과 무책임 사이에 방치되고 있었다.


승객 두려움에 떨었지만
경고 한 줄로 끝낸 조처
운전자는 중국의 차량 공유 플랫폼 소속 기사로, 해당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호출형 차량 운행과 자율주행 기능이 결합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문제의 운전자는 광둥성 포산에서 뤄딩까지 2시간 거리의 고속도로를 시속 120~130km로 주행하는 동안, 자율주행 모드만 믿고 완전히 핸들을 놓은 채 스마트폰을 조작했다. 승객이자 피해자였던 여성은 당시 차에 혼자 탑승해 있었으며, 두려움에 항의조차 하지 못한 채 조용히 상황을 촬영해 증거를 남겼다.
사건 이후 여성은 플랫폼 측과 경찰에 신고했지만, 업체는 운전자에게 단순 경고 조치만 내리고 여성에게는 보상으로 고작 5위안(한화 약 1,000원)의 쿠폰을 지급했다. 여성이 당시 치른 요금은 270위안(약 5만 원)에 달했다. 운전 중 자율주행 기능을 켜더라도, 중국 현행 도로교통법은 운전자의 주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휴대전화 사용과 같은 주행 중 집중력 저해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돼 있다. 고속도로 곳곳에는 운전자가 시스템에만 의존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표지판까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도 플랫폼 측은 책임을 회피하듯 최소한의 조치에 그쳤고, 자율주행이라는 명목 아래 운전자와 플랫폼의 태도 모두가 안전을 우선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기술 신뢰를 넘어서, 상업적 운행에선 그 기술을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한 과제가 되는 셈이다.

자율주행 믿고 무책임?
기술력보다 책임감 중요해
이번 사건은 자율주행 기술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 아닌, 인간의 태도와 서비스 운영 주체의 무책임이 드러난 사례에 가깝다. 자율주행은 엄연히 보조 기술일 뿐이며, 운전자는 언제든 개입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업체 측은 시스템을 신뢰한다는 명분 아래, 실제 현장에서 벌어진 운전자의 위법 행위에 대해 단지 형식적인 조치만 내렸다. 플랫폼의 관리 책임, 법정 제재, 그리고 소비자 보호 모두에서 공백이 발생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 사건이 단발성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다는 점이다. 영상이 없었다면 증거도 없고, 혼자 탄 승객의 불안은 영영 기록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를 운영하는 인간과 시스템의 책임은 더욱 무거워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은 기술을 홍보 수단으로만 소비하고, 관리 책임은 회피하는 플랫폼 운영 문화가 문제의 본질로 지적된다.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호출형 자율주행 서비스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기술력보다 앞서야 할 건 운전자의 책임감과 사업자의 안전 관리 기준이다. 이번 사건은 그 모든 것이 실종된 상태에서 기술이 방치되었을 때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를 경고한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그 기술을 맡길 수 없는 태도라면 결국 사람의 생명은 시스템 안에서 버려지게 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